본문 바로가기
경영, 시사, 직장

신용카드와 연말정산 공제 기본 분석

by ♾⚕⨊⪒૱ 2025. 4. 2.
반응형

신용카드 혜택, 연회비, 전월실적, 무실적 카드, 연말정산 공제까지! 사회 초년생이라면 시작부터 기본을 탄탄하게 갖춰두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큰 차이가 없더라도 갈수록 연봉도 상승하게 되면 세금을 얼마나 줄이는지가 정말 중요해지기 때문에 지금부터 해야됩니다.

 

 

  1. 카드 혜택, 똑똑하게 고르는 법
  2. 내가 쓰는 카드, 진짜 혜자일까?
  3. 서브카드는 무조건 실적 없는 카드?
  4. 연말정산에 유리한 카드 사용법
  5. 신용점수 관리 꿀팁: 카드 한도 조절
  6. 카드 결제일은 왜 14일이 좋을까?
  7. 포인트는 현금이다! 카드포인트 환급법
  8. 요즘 대세, 온라인 온누리상품권

 

카드 혜택, 똑똑하게 고르는 법

카드 광고 보면 "최대 5만 원 할인!", "20% 즉시 할인!" 이런 문구 많이 보셨죠? 그런데 중요한 건 "최대"라는 단어. 보통 5만 원 할인 받으려면 전달 실적이 100만 원 이상이어야 해요. 내가 매달 50만 원밖에 안 쓰는데, 이런 카드 만들면 혜택은커녕 기껏해야 그림의 떡이 될 수 있습니다.

 

 

내가 쓰는 카드, 진짜 혜자일까?

오래 쓴 카드가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연회비만 빠져나가고 혜택은 없는 경우도 많죠. 계산법은 간단해요. “(월 혜택금액 - 연회비/12) ÷ 월 평균 사용금액” 이 1% 이하라면, 당장 해지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확률이 높습니다.

 

서브카드는 무조건 실적 없는 카드?

요즘은 ‘무실적 카드’가 대세입니다. 전월 실적 없이도 할인이나 포인트가 바로 적용되는 카드들이죠. 메인카드는 실적 채우고, 서브카드는 실적 없어도 혜택 챙기고, 카드 쪼개기 전략을 사용하시면 똑같이 소비 하더라도 새어 나가는 돈을 최대한 막을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에 유리한 카드 사용법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총급여의 25% 초과분에 대해서만 적용됩니다. 즉, 연봉 4,000만 원이면 1,000만 원 초과분만 공제 대상이에요. 초과한 금액은 신용카드 15%, 체크카드·현금영수증은 30% 공제되니, 초과 후엔 체크카드를 활용하세요!

 

반대로 말하면 1,000만원까진 뭘로 써도 상관이 없고 그 초과 분을 소비할 때 체크카드와 현금영수증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신용점수 관리 꿀팁: 카드 한도 조절

한도 대비 사용액 비율이 높으면 신용점수에 악영향을 줍니다. 한도를 넉넉히 늘려두고 20~30%만 써보세요. 신용점수 상승에 유리합니다. 카드사 앱에서 간편하게 한도 상향 신청 가능하니 바로 체크해보세요.

 

카드 결제일은 왜 14일이 좋을까?

카드 결제일을 14일로 설정하면 전월 1일부터 말일까지의 사용액이 정확히 정리됩니다. 가계부 쓰시는 분, 전월 실적 관리가 필요한 분들에겐 최적의 결제일이죠. 특히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모두 실적 관리가 쉬워져요.

 

포인트는 현금이다! 카드포인트 환급법

매년 1,000억 원 넘는 카드포인트가 소멸됩니다. 기억하세요!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사이트에서 조회하고, 1원 단위까지 현금으로 환급할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확인해보세요!

 

 

요즘 대세, 온라인 온누리상품권

지류 상품권은 이제 옛말. 요즘은 앱으로 충전하고 카드처럼 사용하는 온라인 온누리상품권이 대세입니다. 무려 10~15% 할인된 금액으로 충전 후 일반 카드처럼 사용 가능하니, 이중 절약 효과가 생기기 때문에 지금 정책적으로 밀어줄 때 사용하면 무조건 달콤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